본문 바로가기
꿀팁

정상체중 계산기 활용하는 방법

by 부수입 연구소 2020. 10. 27.
반응형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기 자신의 체중을 재면서 살아갑니다. 특히 다이어트를 할 때면 우리의 몸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로 얻을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 체중계에 올라가서 체중을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우리는 나의 몸무게가 과연 동일 연령대에, 어느정도 표준화된 평균치를 알고 싶으실 것입니다. 특히 우리의 몸은 단순히 체중kg만으로 알 수 없는 BMI지수라던지 다양한 수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들이 궁금하기 마련이죠.

 

이와 같은 궁금증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상체중 계산기라는 것을 활용하면 가능한데요, 해당 검색을 하게 되면 본인의 BMI 지수라던지, 연령에 따른 적정 체중이라던지 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수치들은 성별과 나이, 신장, 체중을 기입하고서 객관적 수치를 나타내주는데요, 이것을 통해 기초대사량을 산출하여 알려준다던지, 복부 비만도나, 성장그래프 등을확인해 볼 수 있는 다양한 표지들을 제공해줍니다.

 

우리는 정상체중 계산기에서 중요하게 보아야 할 것 중 하나가 바로 BMI지수입니다. 이는 체질량 지수라고도 말하는 지표인데 Body Mass Index라는 말이죠. 계산식은 매우 간단한데요, 몸무게를 키로 나눈것이 바로 그 수치입니다.

왜냐하면 이 BMI 수치를 통해서 저체중~고도비만을 구분할 수 있기때문이죠.

정상 체중의 경우 18.5~22.9로 나타나게 되고, 그 이하는 저체중, 그 이상은 과체중에서 비만으로 넘어가죠. 참고로 40이 넘어가게 되면 그때부터 고도비만입니다.

 

이와 같은 수치를 좀 더 정확하게 알아볼 수 있는 곳은 바로 한국인의 인체치수조사를 하는 웹사이트를 통해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접속해서 한 번 확인해보시고, '나의 체형 알아보기'를 통해 아주 상세한 데이터를 얻어보시기 바랍니다!

sizekorea.kr/

 

Size Korea(한국인인체치수조사)

 

sizekorea.kr

이와 같은 수치를 통해 단순히 체중계에 올라가 알 수 있는 몸무게 뿐 아니라 정확한 지표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