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태어나면서 생년월일과 함께 부여받는(?) 한 가지 정보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12간지라고도 불리고 띠라고도 불리는 12가지의 띠입니다.
이것은 12년을 기점으로 1년에 하나씩 순서대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러한 띠는 참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데요, 이 띠를 기준으로 토정비결을 따지기도 하고, 우리의 사주나 나이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띠는 너무나도 우리 삶에 밀접해서 정말 부담감 없이 많은 곳에서 사용하는데요, 우리가 누군가와의 나이 차이를 얘기할 때 12살 차이가 나는 것을 '띠동갑'이라고 표현하는 것만 봐도 정말 다양한 데에서 편하게 쓰고 있고, 또한 우리의 삶에 정말 밀접하게 들어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12가지 띠 순서가 있는데요, 이것은 규칙적으로 돌아가게 되죠. 보통 십이지라고 불리는 이것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로 나뉘는데요, 이 각각의 단어가 어떤것을 가리키는지 알면 12가지 띠 순서 궁금할 때에 헷갈리지 않고 바로 확인할 수 있겠죠.
먼저 자는 쥐를 가리킵니다. 그리고 축은 소, 인은 호랑이, 그리고 묘는 토끼를 가리키죠. 또한 진은 용을 가리키며, 사는 뱀, 오는 말, 미는 양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그리고 신은 원숭이, 유는 닭, 술은 개, 마지막으로 해는 돼지를 가리킵니다.
이와 같은 12간지, 12가지 띠는 다양한 캐릭터로도 활용이 되고, 우리나라 전통 가옥에도 12간지가 장군복을 입고 칼을 차고 있는 석상이 있는 등 다양하게 활용이 됩니다.
그 중에서도 상상의 동물인 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매우 인상적인데요, 오늘의 포스팅을 통해 12가지 띠순서에 대해서 재미있게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