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1가구 2주택 종합부동산세 쉽게 계산하는 법과 팁

by 부수입 연구소 2021. 3.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께서 바뀐 부동산 정책에 의해 1가구 2주택 종합부동산세 고민이 많이 있으실 텐데요, 1가구당 많은 주택을 보유할 수 없게 하기 위해 이에 대한 세금비율을 높였기 때문에 이러한 세금을 면밀하게 계산하고, 준비하는것은 이제 필수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1가구 2주택 종합부동산세 쉽게 계산하는 법과 팁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기준일은 6월 1일인데요, 이 날을 기준으로 삼아서 중과세율이 적용 되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가 결정이 됩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12월 1일~15일까지는 종부세 납부가 진행된다는 점을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만약 부동산을 소유하신 분들의 경우, 9월 16일~30일 기간 내에 신고가 필수적입니다.

 

사실 이러한 세금을 계산하기 쉽게 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1가구 2주택 종합부동산세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해당 항목에 자신의 상황에 맞는 수치를 기록하게 되면 손쉽게 세금의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첨부해놓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계산기.com/property

 

부동산계산기

부동산계산기 DTI DSR 신DTI LTV 등기수수료 법무사수수료 공인중개사 중개수수료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양도소득세 공동명의 임대수익률

xn--989a00af8jnslv3dba.com

 

하지만 무엇보다 1가구 2주택 종합부동산세 계산하는 방식을 알고, 거기에 따른 세금 계산을 직접 하기 원하시는 분들이 계실것 같아서 아래 계산식과 함께 변동된 내용을 함께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중요한 것은 바로 2021년 기준 과세 표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과세표준 현행 개인개정 개인법정
3억원 이하 0.5% 0.6% 3%
3억~6억원 이하 0.7% 0.8%
6억~12억원 이하 1.0% 1.2%
12억~50억원 이하 1.4% 1.6%
50억~94억원 이하 2.0% 2.2%
94억원 초과 2.7% 3%
2주택 이하 보유자에 대해

 

전반적으로 종합부동산 세율이 올라간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상승폭은 3주택 이상 및 조정지역 2주택 이상 보유시에는 더 큰 폭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과세표준 현행 개인개정 개인법정
3억원 이하 0.6% 1.2% 6%
3억~6억원 이하 0.9% 1.6%
6억~12억원 이하 1.3% 2.2%
12억~50억원 이하 1.8% 3.6%
50억~94억원 이하 2.5% 5.0%
94억원 초과 3.2% 6.0%
3주택 이상 및 조정대상지역 2주택 이상 보유자

이러한 과세율에 대해서 확인할 사항은 바로 '공시가격'일텐데요, 공시가격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들 아시겠지만 국토교통부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매해가 시작하는 1월 1일, 그리고 한 해의 절반인 6월 1일에 공시가격이 발표가 되는데요, 이때 발표하는 '6월 1일'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하게 되는 것이죠.

1가구 2주택 종합부동산세 쉽게 계산하는 법과 팁

그렇다면 개인의 경우 어떻게 종부세를 계산할 수 있을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공시가격의 합 - 6억원 공제) X 공정시장가액비율] X 세율 = 종부세 인것이죠.

 

만약 법인이라면? 역시 간단합니다.

(공시가격의 합 X 공정시장가액비율) X 세율(단일) = 종부세 입니다.

법인의 경우 세부담 상한도 폐지가 되었고, 6억 공제도 폐지가 되었기 때문에 위의 계산식으로 종부세가 책정됩니다.

 

위의 계산식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부동산의 공시가격을 알고있고, 과세 표준을 알고 있다면 손쉽게 계산을 하실 수 있겠죠? 다가오는 종합부동산세 시기에 맞춰서 바뀐 세법도 확인하시고,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반응형